📖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932건

공민학교

공민학교는 대한민국에서 과거 의무교육을 받지 못했거나, 교육 기회를 놓친 성인 및 아동에게 초등 교육 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던 학교이다.

개요

공민학교는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해방 이후 교육 여건이 충분하지 않았던 시기에 문맹 퇴치 및 기초 교육 보급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정규 초등학교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성인과 학령 초과 아동을 대상으로, 간소화된 교육 과정을 제공하여 기본적인 읽기, 쓰기, 산수 능력을 함양하는 데 주력했다.

역사

공민학교의 기원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간이학교와 야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교육 기회 확대와 문맹 퇴치를 위해 공민학교를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특히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전국적으로 많은 공민학교가 설립되어 운영되었다.

교육 과정

공민학교의 교육 과정은 일반 초등학교에 비해 단축되고 간소화되었다. 주요 과목은 국어(한글), 산수, 사회, 실업(기술) 등이었으며, 학생들의 생활에 필요한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수업 연한은 학교에 따라 달랐으나, 보통 2~3년이었다.

변천 및 폐지

경제 성장과 교육 여건 개선에 따라 의무교육 제도가 확대되고, 정규 초등학교의 수가 증가하면서 공민학교의 필요성은 점차 감소했다. 1980년대 이후 대부분의 공민학교가 폐지되었으며, 일부는 평생교육기관으로 전환되었다.

의의

공민학교는 과거 교육 불균등 해소와 문맹 퇴치에 크게 기여했으며, 사회 통합과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공민학교를 통해 교육을 받은 많은 사람들이 사회 각 분야에서 활약하며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