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120건

해면

해면(海綿, sponge)은 해면동물문에 속하는 다세포 동물들의 총칭이다. 얕은 바다에서 깊은 바다까지 다양한 수심과 환경에 서식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5,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몸은 다공질 구조로 되어 있어 물을 빨아들이고 내보내면서 먹이를 섭취하고 산소를 얻는다.

특징

  • 구조: 해면동물은 조직이나 기관이 분화되지 않은 가장 단순한 형태의 다세포 동물이다. 몸은 중교층이라는 젤리 형태의 물질과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 골격: 대부분의 해면은 스피큘(spicule)이라는 작은 바늘 모양의 골편으로 이루어진 골격을 가지고 있다. 스피큘은 탄산칼슘이나 이산화규소로 만들어지며, 해면의 종류에 따라 형태와 구성 성분이 다르다. 일부 해면은 스펀지 섬유(spongin fiber)라는 단백질 섬유로 이루어진 골격을 가지기도 한다.
  • 섭식: 해면은 몸에 있는 작은 구멍(공세포)을 통해 물을 빨아들여 여과 섭식을 한다. 물속에 있는 박테리아, 플랑크톤, 유기물 입자 등을 걸러내어 먹이로 섭취한다.
  • 번식: 해면은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모두 할 수 있다. 무성생식은 출아법, 분열법, gemmule 형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유성생식은 난자와 정자를 생산하여 수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재생 능력: 해면은 손상된 부위를 재생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심지어 조각난 해면 조각들이 다시 모여 완전한 개체로 재생되기도 한다.

분류

해면동물문은 크게 석회해면강, 육방해면강, 보통해면강, 동규해면강의 네 강으로 나뉜다. 각 강은 스피큘의 구성 성분, 형태, 골격 구조 등의 특징에 따라 구분된다.

이용

예로부터 해면은 목욕용품, 청소용품, 외과용품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지중해 지역에서 채취되는 해면은 품질이 뛰어나 인기가 높았다. 현재는 천연 해면의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인조 해면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해면에서 추출한 물질은 항암, 항바이러스 등의 약리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의약품 개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