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78건

보살행

보살행(菩薩行)은 대승불교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깨달음을 얻기 위해 보살이 실천하는 모든 행위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해탈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모든 중생을 고통으로부터 구제하고 궁극적인 행복인 깨달음으로 이끌기 위한 자비심에 기반한 헌신적인 삶의 방식을 의미한다.

개념:

보살행은 '보리심(菩提心)'을 발현하여 실천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리심은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마음'이자 '중생을 구제하고자 하는 마음'을 동시에 내포한다. 따라서 보살행은 자기 자신의 깨달음뿐만 아니라 타인의 이익을 위한 활동을 포괄하며, 이타적인 동기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노력하는 과정을 강조한다.

주요 실천 덕목 (육바라밀):

보살행의 구체적인 실천 덕목으로는 흔히 육바라밀(六波羅蜜)이 제시된다. 육바라밀은 다음과 같다.

  • 보시(布施, Dāna): 재물, 가르침, 두려움 없음을 베푸는 행위.
  • 지계(持戒, Śīla): 계율을 지키고 도덕적인 생활을 하는 행위.
  • 인욕(忍辱, Kṣānti): 어려움과 고통을 참고 견디는 행위.
  • 정진(精進, Vīrya): 끊임없이 노력하고 수행하는 행위.
  • 선정(禪定, Dhyāna): 마음을 집중하고 평정심을 유지하는 행위.
  • 지혜(智慧, Prajñā):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을 얻는 행위.

육바라밀은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하나의 덕목을 실천하는 것이 다른 덕목의 발전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중요성:

보살행은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로 여겨진다. 보살행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깨달음에 가까워질 수 있으며, 동시에 사회 전체의 행복과 평화를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대승불교 신자들은 보살행을 삶의 지표로 삼고 끊임없이 실천하도록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