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6,134건

별시

별시는 조선 시대에 임시로 치르던 과거 시험의 한 종류이다.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식년시(式年試)나 증광시(增廣試)와는 달리, 국가에 경사가 있거나 특별한 필요에 따라 왕명으로 시행되었다.

개요

별시는 주로 왕세자 탄생, 왕비 책봉, 가뭄 해소, 외적 격퇴 등 국가적인 경사나 재난 극복을 기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또한, 특정한 분야에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되었다. 시험 과목이나 선발 인원은 시행될 때마다 왕명에 따라 다르게 정해졌으며, 응시 자격 또한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특정한 계층이나 신분으로 제한되는 경우도 있었다.

특징

  • 비정기성: 정해진 시기에 치러지는 과거와 달리, 필요에 따라 임시로 시행되었다.
  • 다양한 목적: 경사 기념, 인재 등용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시행되었다.
  • 유동적인 시행 방식: 시험 과목, 선발 인원, 응시 자격 등이 왕명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되었다.

영향

별시는 조선 시대 사회에서 인재 등용의 중요한 통로 중 하나였으며, 국가적인 행사를 기념하고 사회 분위기를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능력 있는 인재를 발굴하여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왕조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