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2,358건

베텔 고백문

베텔 고백문은 1933년 독일의 신앙고백교회(고백교회)가 나치 정권과 그에 동조하는 '독일 기독교인' 운동에 대항하여 작성한 신학적 선언문입니다.

배경

1930년대 초,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 정권이 독일 교회를 국가 이념 아래 통합하고 통제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특히 '독일 기독교인'이라는 친(親)나치 교회 운동은 아리아인 조항 도입 등 나치 이데올로기를 기독교 신앙에 접목시키려 했습니다. 이에 대해 일부 목회자들과 신학자들은 성경에 기반한 전통적인 교회의 독립성과 신앙을 지키기 위해 저항했으며, 이들이 '신앙고백교회'를 형성했습니다. 베텔 고백문은 이러한 교회의 위기 상황 속에서 신앙고백교회의 신학적 입장을 명확히 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작성

1933년 8월, 독일 베텔(Bethel) 지역에서 신앙고백교회 관련자들이 모여 이 고백문을 작성했습니다. 스위스의 신학자 칼 바르트(Karl Barth)가 초안 작성에 깊이 관여했으며, 여러 수정 과정을 거쳐 채택되었습니다.

내용

베텔 고백문은 성경과 종교개혁의 신학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핵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교회의 유일한 머리는 예수 그리스도이며, 그 외의 어떤 권위(국가, 민족, 지도자 등)도 교회의 가르침이나 통치에 개입할 수 없음을 선언합니다.
  • 성경의 권위를 최우선으로 삼으며, 인간의 이데올로기나 사상이 성경보다 우위에 설 수 없음을 강조합니다.
  • 나치즘에서 비롯된 인종주의(특히 유대인에 대한 차별)와 같은 사상이 교회의 일치와 가르침을 훼손하는 것을 신학적으로 비판하고 거부합니다.
  • 교회는 국가의 도구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하며, 세상에 대한 예언자적 사명을 가져야 함을 암시합니다.

의의와 영향

베텔 고백문은 신앙고백교회가 나치 정권과 '독일 기독교인' 운동의 위협에 맞서 공식적으로 신학적 입장을 표명한 초기적이고 중요한 문서 중 하나입니다. 이 고백문은 교회의 독립성과 성경적 신앙의 중요성을 천명하며, 이후 신앙고백교회의 활동 방향을 설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비록 이듬해 발표되어 더욱 유명해진 바르멘 선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베텔 고백문은 혼란스러운 시대에 교회가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신학적 투쟁의 첫걸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서로 평가됩니다.

같이 보기

  • 바르멘 선언
  • 신앙고백교회
  • 칼 바르트
  • 독일 기독교인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