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354건

방류

방류란 인위적으로 물을 내보내는 행위를 의미한다. 하천, 호수, 저수지 등 일정한 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물을 다른 곳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방류는 다양한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그 목적에 따라 방법과 규모가 달라진다.

목적

  • 홍수 조절: 집중 호우 등으로 인해 하천이나 저수지의 수위가 높아져 홍수 위험이 있을 때, 댐이나 보 등의 수문을 열어 물을 방류함으로써 하류 지역의 침수를 예방한다.
  • 수력 발전: 댐에 저장된 물을 방류하여 수차를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이때 방류량은 발전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농업 용수 공급: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물을 논이나 밭으로 공급하기 위해 저수지나 댐에서 물을 방류한다. 특히 가뭄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하천 유지 유량 확보: 하천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정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방류한다.
  • 오염 물질 희석: 오염 물질이 하천에 유입되었을 때, 물을 방류하여 오염 물질의 농도를 낮추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양식: 양식장에서 기른 어패류를 자연 생태계로 내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방류사업" 등의 형태로 사용)

영향

방류는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모두 가질 수 있다. 홍수 조절이나 용수 공급 등 필요한 경우에는 유용하지만, 과도한 방류는 하류 지역에 홍수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갑작스러운 수량 변화는 하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오염 물질 희석을 목적으로 한 방류는 일시적으로 오염도를 낮출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관련 법규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는 방류와 관련된 법규 및 규정을 통해 방류 행위를 관리하고 있다. 이는 방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댐 관리법, 하천법, 물환경보전법 등이 관련 법규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