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2,262건

문장완성검사

문장완성검사 (Sentence Completion Test, SCT)는 투사적 성격 검사의 일종으로, 미완성된 문장(어간, stem)을 제시하고 피검자로 하여금 자유롭게 완성하도록 하여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성격, 태도, 정서, 욕구, 갈등 등을 파악하는 심리 검사 기법이다.

개요

문장완성검사는 비교적 간편하고 시간 효율적인 검사 방식으로, 면접이나 다른 심리 검사와 병행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검사의 기본 전제는 피검자가 미완성 문장을 완성할 때 자신의 무의식적인 심리 내용이나 개인적인 경험, 감정, 소망 등을 투사한다는 것이다. 완성된 문장을 분석하여 피검자의 심리적 특성을 추론하고, 이를 통해 성격 및 적응 상태를 평가한다.

종류

문장완성검사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검사 목적과 대상에 따라 어간의 내용과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대표적인 문장완성검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로터-아이젠크 문장완성검사 (Rotter Incomplete Sentences Blank, RISB): 대학생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40개의 미완성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삭스-시드니 문장완성검사 (Sacks Sentence Completion Test): 대학생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가정, 성, 대인관계, 자기개념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60개의 미완성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동용 문장완성검사 (Children's Sentence Completion Test):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연령에 맞는 어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석

문장완성검사의 해석은 일반적으로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을 병행한다. 질적 분석은 완성된 문장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피검자의 주관적인 경험, 감정, 태도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양적 분석은 완성된 문장의 내용을 특정 범주로 분류하여 점수화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장단점

문장완성검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간편성: 검사 실시 및 채점이 비교적 간편하다.
  • 유연성: 검사 목적과 대상에 따라 어간의 내용과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 개방성: 피검자가 자유롭게 문장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반면, 문장완성검사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 주관성: 해석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
  • 위장 가능성: 피검자가 의도적으로 응답을 왜곡할 수 있다.
  • 표면성: 깊이 있는 심리적 문제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활용

문장완성검사는 임상 장면, 상담 장면, 교육 장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개인의 성격 평가, 심리적 문제 진단, 상담 목표 설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