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191건

경험과학

경험과학(empirical science)은 경험적 증거, 즉 관찰과 실험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식을 탐구하고 검증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다. 이론적 추론이나 논리적 연역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체계적인 관찰, 실험, 측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경험과학은 가설 설정, 실험 설계, 데이터 분석, 결과 해석 등의 과정을 거쳐 지식을 축적하고 수정해 나간다.

주요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 검증 가능성 (Verifiability): 경험과학의 주장은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즉, 반증 가능성을 가져야 한다.
  • 객관성 (Objectivity): 관찰자의 주관적인 편견이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객관적인 방법론을 사용한다. 표준화된 절차와 측정 도구를 사용하고, 결과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재현될 수 있어야 한다.
  • 반복성 (Reproducibility):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반복했을 때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 체계성 (Systematicity): 무작위적인 관찰이 아닌,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이는 연구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경험과학은 자연과학(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론이지만, 사회과학(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다만, 사회과학의 경우 자연과학에 비해 변수 통제가 어렵고,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경험과학의 결과는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라, 현재까지 축적된 증거에 기반한 최선의 설명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새로운 증거가 발견됨에 따라 수정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