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20건

목탑

목탑 (木塔)은 나무로 지어진 탑을 의미하며, 주로 불교 건축 양식에서 나타나는 건축물입니다. 석탑과 함께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불교 문화권에서 널리 볼 수 있습니다.

개요

목탑은 석탑에 비해 비교적 가볍고 유연한 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진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목재의 가공 용이성 덕분에 다양한 형태와 장식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재에 취약하고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구조

목탑은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은 기둥, 보, 도리 등의 목재 구조로 연결됩니다. 탑의 중심에는 심주(心柱)라는 기둥이 세워져 탑 전체를 지지하며, 찰주(擦柱)라는 금속 기둥이 심주 위로 솟아올라 탑의 꼭대기를 장식합니다. 각 층의 지붕은 처마로 구성되며, 처마 끝에는 풍경(風磬)을 달아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를 통해 잡귀를 쫓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역사

목탑은 고대 인도에서 기원하여 불교의 전파와 함께 동아시아로 전해졌습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목탑이 건축되었으며, 특히 백제에서 대규모의 목탑이 많이 세워졌다고 전해집니다. 현존하는 대표적인 목탑으로는 일본의 호류지 5층 목탑이 있습니다. 한국에는 황룡사 9층 목탑이 있었으나,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습니다.

의미

목탑은 단순히 건축물을 넘어 불교 신앙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는 장소이며, 탑을 쌓는 행위는 공덕을 쌓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또한, 탑의 높이는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상징하며, 탑의 형태는 불교의 세계관을 반영합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