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맥락막

맥락막(脈絡膜, Choroid)은 안구의 중간층을 구성하는 혈관이 풍부한 막으로, 망막과 공막 사이에 위치한다. 눈의 뒤쪽 2/3를 덮고 있으며, 주된 기능은 망막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멜라닌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눈 내부로 들어오는 빛을 흡수하여 눈 내부에서 빛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각적 선명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구조

맥락막은 크게 세 개의 층으로 나눌 수 있다.

  • 맥락막 혈관층(Suprachoroid lamina): 공막과 맥락막 사이에 위치하는 가장 바깥쪽 층으로, 혈관과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다.

  • 혈관층(Stroma): 맥락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크고 작은 혈관들이 풍부하게 분포한다. Haller층(바깥쪽, 큰 혈관 분포)과 Sattler층(안쪽, 작은 혈관 분포)으로 세분화된다.

  • 브루흐 막(Bruch's membrane): 망막 색소상피층과 맥락막 사이에 위치하는 얇은 막으로, 망막과 맥락막 사이의 물질 교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기능

  • 망막 영양 공급: 맥락막의 주요 기능은 혈관을 통해 망막, 특히 시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 빛 흡수: 멜라닌 색소가 빛을 흡수하여 눈 내부의 빛 산란을 줄이고 시각적 선명도를 높인다.

  • 온도 조절: 혈액 순환을 통해 안구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데 기여한다.

관련 질환

맥락막은 다양한 안과 질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대표적이다.

  • 맥락막 신생혈관: 비정상적인 혈관이 맥락막에서 자라 망막으로 침범하는 질환으로, 연령 관련 황반변성이나 근시 등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 맥락막 박리: 맥락막이 공막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로, 외상, 염증, 종양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맥락막염: 맥락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감염, 자가면역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참고 문헌

  • 예시: 대한안과학회. 안과학. 제 12판. 일조각,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