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916건

만담

만담은 주로 두 사람이 주고받는 말로 웃음을 자아내는 한국의 전통적인 희극 양식이다. 구어체적인 언어유희, 과장, 흉내, 익살 등을 사용하여 청중을 즐겁게 한다.

개요

만담은 일상생활의 소재를 바탕으로 사회 현상이나 인물, 사건 등을 풍자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 대화 형식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며, 즉흥성과 재치가 중요한 요소이다. 만담가는 능숙한 말솜씨와 연기력으로 청중의 흥미를 유발하고, 예상치 못한 반전이나 기발한 발상을 통해 웃음을 선사한다.

역사

만담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조선 후기 서민들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여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는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아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에는 라디오 방송이나 극장 등에서 활발하게 공연되었으며, 1970년대 TV 코미디의 발전과 함께 인기를 얻었다.

특징

  • 대화 형식: 두 명 이상의 만담가가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한다.
  • 구어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친근함을 더한다.
  • 언어유희: 말장난, 동음이의어, 반어법 등을 활용하여 웃음을 유발한다.
  • 과장과 흉내: 인물이나 상황을 과장하거나 흉내 내어 재미를 더한다.
  • 풍자: 사회 현상이나 인물을 비판적으로 묘사하여 웃음과 함께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
  • 즉흥성: 상황에 따라 즉흥적인 대사를 구사하여 생동감을 더한다.

관련 용어

  • 재담: 만담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만담보다는 좀 더 넓은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 해학: 익살스럽고 재미있는 표현을 통해 웃음을 자아내는 것.
  • 풍자: 사회 현상이나 인물의 부정적인 면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는 것.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디지털향토문화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