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족
위족 (僞足, pseudopod)은 일부 원생생물, 아메바류, 그리고 동물의 세포에서 관찰되는 일시적인 세포질 돌출부이다. 그리스어로 "거짓 발"을 의미하는 "pseudo" (거짓)와 "pod" (발)의 합성어이다. 위족은 세포의 운동, 먹이 섭취, 그리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형태 및 구조
위족은 세포질의 액틴 섬유와 미오신 단백질의 중합과 탈중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세포질이 세포막을 밀어내면서 다양한 형태를 띠는데, 넓고 뭉툭한 형태, 가늘고 긴 형태, 또는 가지처럼 갈라진 형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위족의 형태는 세포의 종류, 환경 조건, 그리고 세포의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기능
- 운동: 위족은 아메바와 같은 단세포 생물이 이동하는 주요 수단이다. 세포는 위족을 뻗어 이동 방향으로 고정시킨 후, 세포질을 위족 쪽으로 이동시켜 몸 전체를 끌어당긴다.
- 먹이 섭취: 위족은 먹이를 둘러싸고 세포 내로 섭취하는 데 사용된다. 식세포 작용이라고 알려진 이 과정은 면역 세포가 박테리아나 세포 잔해를 제거하는 데 중요하다.
- 환경 감지: 일부 세포는 위족을 사용하여 환경을 탐색하고 화학적 신호나 다른 자극에 반응한다.
관련 용어
- 엽상위족 (Lobopodia): 뭉툭하고 둥근 형태의 위족으로, 아메바류에서 흔히 관찰된다.
- 사상위족 (Filopodia): 가늘고 긴 형태의 위족으로, 세포 표면을 탐색하거나 세포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 망상위족 (Reticulopodia): 서로 연결된 가늘고 긴 위족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유공충류에서 관찰된다.
참고 문헌
- [관련 과학 논문 또는 교과서] (실제 참고 문헌 정보로 대체)
같이 보기
- 세포 운동
- 아메바
- 식세포 작용
- 액틴
- 미오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