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8,798건

마이봄샘 기능장애

마이봄샘 기능장애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는 눈꺼풀 가장자리에 위치한 마이봄샘의 만성적이고 진행적인 기능 이상으로, 눈물막의 지질층 부족을 초래하여 눈물 증발을 증가시키고, 안구 건조증, 염증, 눈의 불편감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흔히 MGD로 약칭된다.

개요

마이봄샘은 눈꺼풀 테두리에 위치하며, 눈물막의 가장 바깥층인 지질층을 분비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이 지질층은 눈물 증발을 억제하고 눈물막을 안정화시켜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봄샘 기능장애는 마이봄샘의 막힘, 염증, 혹은 분비물의 질적 변화 등으로 인해 지질층이 부족해지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눈물막이 불안정해지고 눈물이 쉽게 증발하여 안구 건조증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원인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나이: 나이가 들수록 마이봄샘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 호르몬 변화: 폐경기 여성이나 남성 호르몬 감소가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안검염: 눈꺼풀 테두리의 만성적인 염증은 마이봄샘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 피부 질환: 주사,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등과 같은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동반될 수 있다.
  • 약물: 일부 약물(예: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항우울제)은 눈물 분비를 감소시켜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악화시킬 수 있다.
  • 렌즈 착용: 콘택트렌즈 착용은 눈물막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마이봄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환경적 요인: 건조한 환경, 미세먼지, 장시간의 디지털 기기 사용 등은 안구 건조증을 악화시켜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증상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안구 건조감: 눈이 뻑뻑하고 이물감이 느껴지며, 눈물이 부족하다고 느껴진다.
  • 눈의 불편감: 눈이 따갑거나 가렵고, 타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다.
  • 시력 변화: 시야가 흐릿해지거나 일시적인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 눈물 흘림: 역설적으로 눈물이 과도하게 흐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안구 표면의 자극에 대한 반사 작용으로 인한 것이다.
  • 눈꺼풀 테두리의 염증: 눈꺼풀 테두리가 붉어지고 부어오르거나 비늘 같은 각질이 생길 수 있다.
  • 눈곱: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곱이 많이 낄 수 있다.

진단

마이봄샘 기능장애는 안과 의사의 세극등 현미경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의사는 눈꺼풀 테두리의 마이봄샘 입구를 관찰하여 막힘 여부, 분비물의 질, 염증 정도 등을 평가한다. 또한, 눈물막 파괴 시간(TBUT) 측정, 쉬르머 검사(Schirmer test) 등을 통해 눈물 분비량과 눈물막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치료

마이봄샘 기능장애는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질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온찜질: 따뜻한 물수건이나 온열 안대를 사용하여 눈꺼풀을 5-10분 정도 온찜질하면 마이봄샘 내의 굳어진 기름을 녹여 배출을 돕는다.
  • 눈꺼풀 세척: 면봉이나 거즈를 이용하여 눈꺼풀 테두리를 깨끗하게 닦아내어 노폐물과 염증 물질을 제거한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눈꺼풀 세정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 인공눈물: 인공눈물을 수시로 점안하여 안구 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눈물막을 안정화시킨다.
  • 마이봄샘 압출: 안과 의사가 특수 기구를 사용하여 막힌 마이봄샘을 짜서 분비물을 배출시킨다.
  • 약물 치료:
    •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의 경구 항생제나 국소 항생제 연고는 눈꺼풀의 염증을 줄여주고 마이봄샘의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스테로이드: 심한 염증이 있는 경우 단기간 동안 스테로이드 안약을 사용할 수 있다.
    • 사이클로스포린: 사이클로스포린 안약은 눈물 분비를 촉진하고 염증을 억제하여 안구 건조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IPL(Intense Pulsed Light) 치료: 특정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눈꺼풀 주변의 혈관을 수축시키고 염증을 줄여 마이봄샘 기능을 개선하는 치료법이다.
  • 생활 습관 개선:
    • 충분한 수분 섭취
    • 오메가-3 지방산 섭취: 오메가-3 지방산은 눈물막의 지질층을 강화하고 염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
    • 장시간 디지털 기기 사용 시 휴식 시간을 갖기
    • 금연 및 음주 줄이기

예방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

  • 눈꺼풀 청결 유지
  • 충분한 수분 섭취
  • 건조한 환경 피하기
  • 디지털 기기 사용 시 휴식 취하기
  • 정기적인 안과 검진

참고 문헌

  •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23). Meibomian Gland Dysfunction.
  • National Eye Institute. (n.d.). Dry Eye.

관련 질환

  • 안구 건조증
  • 안검염
  • 주사
  • 아토피 피부염
  • 지루성 피부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