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네오벨라토르
디네오벨라토르 (학명: Dineobellator)는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에 북아메리카 (현재의 미국 뉴멕시코)에서 서식했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의 한 속이다. '나바호 전사' 또는 '디네족 전사'를 의미하는 이름처럼, 날카로운 발톱과 이빨을 가진 비교적 작은 육식 공룡이었다. 이 공룡은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내에서도 비교적 후기에 출현한 파생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름의 유래
속명 Dineobellator는 화석이 발견된 미국 남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원주민인 나바호족의 자칭인 '디네'(Diné)와 라틴어로 '전사'를 뜻하는 '벨라토르'(bellator)의 합성어이다. 이는 이 지역의 나바호족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명명되었다. 종소명 notohesperus는 고대 그리스어로 '남쪽의'를 의미하는 '노토스'(notos)와 '서쪽의' 또는 '저녁의'를 의미하는 '헤스페로스'(hesperos)의 합성어로, 미국 남서부에서 발견된 것을 나타낸다.
발견
디네오벨라토르는 2020년에 스티븐 재시스키(Steven Jasinski)와 동료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명명되고 기재(記載)되었다. 디네오벨라토르의 완모식표본(holotype)인 NMMNH P-50812는 미국 뉴멕시코의 오조 알라모 층(Ojo Alamo Formation) 하부에서 발견된 부분 골격으로, 두개골 일부, 척추뼈, 갈비뼈, 앞다리와 뒷다리뼈 등이 포함되어 있다.
분류
디네오벨라토르는 수각아목(Theropoda)에 속하는 공룡으로, 날카로운 발톱으로 유명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에 포함된다.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는 흔히 '랩터'(Raptor)라고 불리는 그룹으로, 디네오벨라토르는 이 과 내에서도 벨로키랍토르(Velociraptor)나 데이노니쿠스(Deinonychus)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디네오벨라토르는 약 2.5~3미터 길이의 비교적 작은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으로 추정된다.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들처럼 뒷다리에 크고 낫 모양의 두 번째 발가락 발톱을 가지고 있어 먹이를 사냥하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디네오벨라토르는 몇 가지 독특한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꼬리뼈의 형태가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들과 차이를 보여, 꼬리가 비교적 유연하여 기동성에 도움을 주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아래팔뼈(척골)에서 깃털이 부착되었음을 시사하는 깃털 꽂이(quill knobs)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는 벨로키랍토르 등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들처럼 디네오벨라토르도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서식 환경
디네오벨라토르가 살았던 백악기 후기(마스트리히트절)의 북아메리카(현재의 뉴멕시코) 지역은 당시 라라미디아(Laramidia) 대륙의 남쪽 일부였으며, 늪지대, 강, 범람원 등이 혼합된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지층에서는 티라노사우루스상과, 하드로사우루스과, 케라톱스과 등 다양한 공룡 화석들이 함께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