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불교 경전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불교의 경(經, Sutra), 율(律, Vinaya), 논(論, Abhidhamma) 삼장(三藏)을 모두 모아놓은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삼장경(三藏經)'이라고도 불린다. 단순히 불경을 모아놓은 것을 넘어, 그 목록과 해설, 주석까지 포함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대장경은 불교의 교리를 집대성한 것으로, 불교 문화권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편찬되었으며, 각 시대와 지역의 불교 사상을 반영하고 있다.
주요 대장경 종류:
- 팔리어 대장경 (Tipitaka): 남방 불교에서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대장경으로, 주로 상좌부 불교에서 중시된다.
- 한역 대장경 (Chinese Buddhist Canon): 중국에서 번역되고 편찬된 대장경으로,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으로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 있다.
- 티베트 대장경 (Kangyur and Tengyur): 티베트어로 번역되고 편찬된 대장경으로, 강규르(Kangyur)와 텡규르(Tengyur)로 나뉜다.
- 만주 대장경 (Manchu Buddhist Canon): 만주어로 번역되고 편찬된 대장경이다.
고려대장경 (高麗大藏經):
특히 한국의 고려대장경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한역 대장경이다. 몽골의 침입을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 제작되었으며, 완벽한 보존 상태와 정교함으로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의의:
대장경은 불교 연구의 핵심 자료이며, 불교 사상, 문화, 역사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각 시대의 인쇄술, 조각술, 서지학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