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6,340건

다중미니면접

다중미니면접 (Multiple Mini Interview, MMI)은 지원자의 다양한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면접 방식의 하나이다. 주로 의료, 법학, 교육 등 전문직 분야의 입학 전형에서 활용되며, 짧은 시간 동안 여러 개의 독립적인 면접 스테이션을 순환하며 평가받는 것이 특징이다. 각 스테이션에서는 특정 상황이나 질문이 주어지며, 면접관은 지원자의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윤리적 판단력, 공감 능력 등을 평가한다.

특징

  • 스테이션 기반: 다중미니면접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각 스테이션은 고유한 시나리오, 질문 또는 과제를 제시하며, 지원자는 주어진 시간 내에 이에 대한 답변이나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 짧은 면접 시간: 각 스테이션에서의 면접 시간은 일반적으로 5분에서 10분 정도로 짧게 진행된다. 이는 지원자의 즉각적인 반응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 다양한 평가 요소: 다중미니면접은 단순 지식 암기 능력보다는 상황 판단력, 의사소통 능력, 윤리적 사고, 대인 관계 능력 등 다양한 역량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 객관적인 평가: 여러 명의 면접관이 각 스테이션에서 독립적으로 평가를 수행하므로,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장점

  • 다면적인 평가: 다양한 스테이션을 통해 지원자의 여러 측면을 평가할 수 있어, 종합적인 역량 평가가 가능하다.
  • 공정성 확보: 여러 면접관의 평가를 종합하여 개인적인 편견을 줄이고 공정한 평가를 돕는다.
  • 예측 타당성: 기존의 면접 방식에 비해 지원자의 실제 업무 수행 능력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단점

  • 높은 준비 부담: 다양한 유형의 시나리오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므로, 지원자에게 준비 부담이 클 수 있다.
  • 평가 비용: 여러 면접관과 스테이션을 운영해야 하므로, 면접 운영 비용이 높을 수 있다.
  • 피상적인 평가 우려: 짧은 시간 안에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지원자의 깊이 있는 역량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다중미니면접은 지원자의 잠재력을 평가하고, 전문직 수행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는 데 효과적인 면접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