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2,151건

뇌신경

뇌신경 (腦神經, cranial nerves)은 뇌에서 직접 기시하여 두개골의 구멍을 통해 나와 얼굴, 머리, 목, 그리고 일부 내장 기관에 분포하는 신경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12쌍으로 구성되며, 각 신경은 로마 숫자로 번호가 매겨져 있고, 고유한 이름과 기능을 갖는다.

기능:

뇌신경은 감각, 운동, 자율신경 기능을 수행한다.

  • 감각 신경: 후각(후각신경), 시각(시신경), 청각 및 평형 감각(내이신경), 미각(얼굴신경, 설인신경, 미주신경) 등의 감각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 운동 신경: 눈의 움직임(동안신경, 활차신경, 외전신경), 얼굴 표정(얼굴신경), 혀의 움직임(설하신경), 목과 어깨 근육의 움직임(더부신경), 저작 운동(삼차신경) 등을 조절한다.
  • 자율신경: 눈물샘, 침샘 등의 분비(얼굴신경, 설인신경), 내장 기관의 기능 조절(미주신경) 등에 관여한다.

12쌍의 뇌신경:

  1. 후각신경 (Olfactory nerve, I): 후각을 담당한다.
  2. 시신경 (Optic nerve, II): 시각을 담당한다.
  3. 동안신경 (Oculomotor nerve, III): 눈의 움직임, 동공 수축, 눈꺼풀 올림 등을 조절한다.
  4. 활차신경 (Trochlear nerve, IV): 눈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5. 삼차신경 (Trigeminal nerve, V): 얼굴 감각, 저작 운동 등을 담당한다. 세 개의 가지(안신경, 상악신경, 하악신경)로 나뉜다.
  6. 외전신경 (Abducens nerve, VI): 눈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7. 얼굴신경 (Facial nerve, VII): 얼굴 표정, 미각, 눈물샘 및 침샘 분비 등을 담당한다.
  8. 내이신경 (Vestibulocochlear nerve, VIII): 청각 및 평형 감각을 담당한다. 청신경과 전정신경으로 구성된다.
  9. 설인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IX): 미각, 침샘 분비, 목 근육 운동 등을 담당한다.
  10. 미주신경 (Vagus nerve, X): 내장 기관의 기능 조절, 목 근육 운동 등을 담당한다. 가장 넓은 분포 범위를 갖는 뇌신경이다.
  11. 더부신경 (Accessory nerve, XI): 목과 어깨 근육 운동을 담당한다.
  12. 설하신경 (Hypoglossal nerve, XII): 혀의 움직임을 담당한다.

임상적 중요성:

뇌신경은 뇌졸중, 뇌종양, 외상, 감염, 신경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뇌신경 손상은 감각 소실, 운동 마비, 자율신경 기능 이상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손상된 신경에 따라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뇌신경 검사는 신경학적 검사의 중요한 부분이며, 뇌신경 손상의 위치와 정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