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429건

뇌간

뇌간 (Brainstem)은 뇌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척수와 대뇌 사이를 연결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들을 조절하며, 대뇌와 소뇌로부터의 정보를 척수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구조 및 구성

뇌간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 중뇌 (Midbrain): 시각 및 청각 반사, 운동 조절에 관여한다. 뇌신경 중 일부 (동안신경, 활차신경)가 중뇌에서 기원한다.
  • 교뇌 (Pons): 소뇌와 대뇌 사이의 정보 전달 통로 역할을 하며, 수면, 호흡 조절에 관여한다. 뇌신경 중 일부 (삼차신경, 외전신경, 안면신경, 내이신경)가 교뇌에서 기원한다.
  • 연수 (Medulla Oblongata): 심박수, 혈압, 호흡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자율신경계 기능을 조절한다. 뇌신경 중 일부 (설인신경, 미주신경, 부신경, 설하신경)가 연수에서 기원한다.

뇌간 내부에는 뇌신경핵, 망상체 등 다양한 신경핵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신경 회로의 중심 역할을 한다.

기능

뇌간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 생명 유지 기능 조절: 심박수, 혈압, 호흡, 소화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자율신경계 기능을 조절한다.
  • 신경 정보 전달: 대뇌와 소뇌로부터 척수로, 척수로부터 대뇌와 소뇌로 신경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반사 작용 조절: 기침, 재채기, 구토 등 반사 작용을 조절한다.
  • 뇌신경 기능: 대부분의 뇌신경이 뇌간에서 기원하여 얼굴, 머리, 목 부위의 감각, 운동 기능을 담당한다.
  • 의식 유지: 망상체는 각성 수준과 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여 의식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상적 중요성

뇌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하므로, 뇌간 손상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뇌간 손상은 뇌졸중, 외상성 뇌 손상, 종양, 감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의식 장애, 사지 마비, 호흡 곤란, 심혈관계 이상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뇌간의 특정 부위 손상은 특정 뇌신경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안신경 손상은 복시를, 안면신경 손상은 안면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