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사
보조사는 체언, 용언, 부사, 문장 등 다양한 요소에 붙어 특별한 의미를 더하거나,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이다. 격 조사와는 달리 필수적인 문법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며, 문장의 의미를 강조, 한정, 대조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보조사는 생략되더라도 문장의 기본적인 의미는 통하지만, 화자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하거나 특정한 뉘앙스를 부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능 및 의미
보조사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문맥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주요 기능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 강조: 앞말의 의미를 두드러지게 강조한다. (예: "밥은 먹었니?")
- 한정: 앞말의 의미를 제한하거나 범위를 좁힌다. (예: "물만 마셨다.")
- 대조: 앞말과 다른 대상을 비교하거나 대조한다. (예: "나는 사과는 좋아하지만 배는 싫어한다.")
- 첨가: 앞말에 어떤 내용을 더하거나 보충한다. (예: "책도 읽고 영화도 봤다.")
- 비교: 앞말을 다른 대상과 비교한다. (예: "너만큼 빠르지는 않다.")
- 양보: 앞말의 내용을 인정하면서 다른 내용을 덧붙인다. (예: "비가 오지만 가겠다.")
- 확인: 앞말의 내용을 재확인하거나 동의를 구한다. (예: "그렇지?")
종류
보조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의미와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은/는: 대조, 강조, 화제 제시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 도: 첨가, 나열의 의미를 나타낸다.
- 만: 한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 부터: 시작의 의미를 나타낸다.
- 까지: 끝, 범위의 의미를 나타낸다.
- 마다: 반복, 빠짐없음의 의미를 나타낸다.
- 조차: 강조, 극단의 의미를 나타낸다.
- 마저: 강조, 남김없음의 의미를 나타낸다.
- 밖에: 한정, 부정적 의미를 나타낸다.
- -나/-이나: 선택의 의미를 나타낸다.
- -든지: 선택, 무관의 의미를 나타낸다.
- -ㄹ/을랑: 강조, 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특징
- 보조사는 격 조사와 달리 생략이 가능하다.
- 보조사는 여러 개가 겹쳐서 사용될 수 있다. (예: "밥은마저 먹었다.")
- 보조사의 의미는 문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
문장 | 보조사 | 의미 |
---|---|---|
나는 밥을 먹었다. | 는 | 화제 제시, 대조 (다른 사람은 안 먹고 나만 먹었다는 뉘앙스) |
밥도 먹고 국도 마셨다. | 도 | 첨가, 나열 |
물만 마셨다. | 만 | 한정 |
너부터 시작해라. | 부터 | 시작 |
집까지 걸어갔다. | 까지 | 끝, 범위 |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다. | 마다 | 반복, 빠짐없음 |
너조차 나를 믿지 못하니. | 조차 | 강조, 극단 |
남은 돈마저 다 썼다. | 마저 | 강조, 남김없음 |
1000원밖에 없다. | 밖에 | 한정, 부정적 의미 |
사과나 배나 먹고 싶다. | -나/-이나 | 선택 |
비가 오든지 눈이 오든지 가겠다. | -든지 | 선택, 무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