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1,881건

낙론

낙론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갈래로, 북학파의 선구자적인 학자였던 박제가의 학문적 경향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낙(洛)'은 당시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을 의미하며, '낙론'은 한양, 즉 조선의 현실에 기반하여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주로 청나라의 선진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조선의 현실에 적용하여 부국강병과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려는 주장을 펼쳤다. 낙론은 당시 성리학적 질서에 갇혀 변화를 주저하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실사구시의 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낙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북학 강조: 청나라의 발달된 문물과 제도를 배우고 받아들여 조선의 경제와 기술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실용적인 학문 추구: 현실에 도움이 되지 않는 공리공론을 배격하고, 농업, 상업, 공업 등 실생활과 관련된 학문을 중시했다.
  • 개방적인 태도: 쇄국정책을 비판하고, 외국과의 교류를 통해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 신분제 비판: 능력 있는 인재를 등용하기 위해 신분제를 비판하고, 평등한 사회를 지향했다.

박제가 이후, 낙론은 박지원을 비롯한 다른 북학파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 후기 실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당시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낙론은 주류 학문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일부 지식인들 사이에서만 확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