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피
기피 (忌避)는 싫어하여 피하거나 꺼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개인적, 사회적, 윤리적, 법률적 이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기피의 대상은 사람, 장소, 물건, 상황, 행위, 사상 등 매우 광범위하다.
어원
기피는 꺼릴 기(忌)와 피할 피(避)로 이루어진 한자어이다. 즉, '꺼려서 피한다'는 직접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발생 원인
기피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개인적 경험: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이나 트라우마는 특정 대상에 대한 기피를 유발할 수 있다.
- 사회적 인식: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대상은 기피의 대상이 되기 쉽다. 예를 들어, 특정 직업이나 질병에 대한 편견이 기피를 초래할 수 있다.
- 윤리적 가치관: 개인의 윤리적 가치관에 위배되는 행위나 사상은 기피의 대상이 될 수 있다.
- 공포와 불안: 미지의 대상이나 위험하다고 인식되는 대상은 공포와 불안을 유발하여 기피의 대상이 될 수 있다.
- 혐오감: 불쾌하거나 혐오스러운 대상은 자연스럽게 기피하게 된다.
법률적 의미
법률 용어로서 기피는 특정한 직무 집행에서 공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유가 있을 때, 당사자의 신청 또는 직권에 의해 해당 직무 담당자를 배제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주로 재판, 수사, 행정 심판 등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재판의 공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당사자는 법관에 대한 기피 신청을 할 수 있다.
기피의 사회적 영향
기피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정 직업에 대한 기피는 인력 부족 현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에 대한 기피는 지역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집단에 대한 기피는 사회적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피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