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432건

흡인

흡인 (吸引, aspiration)은 일반적으로 액체나 고체 물질이 의도치 않게 호흡기로 들어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기체, 액체, 고체 등 다양한 물질을 빨아들이는 행위를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으나, 의학 분야에서는 주로 이물질이 기도로 잘못 흡입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정의 및 종류

흡인은 음식물, 침, 위 내용물, 혈액, 이물질 등이 기도를 통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흡인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위 내용물 흡인: 위산과 음식물 찌꺼기가 폐로 들어가 폐렴이나 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마취 상태, 의식 저하, 구토 등의 상황에서 발생하기 쉽다.
  • 이물 흡인: 작은 장난감, 음식 조각 등이 기도를 막아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영유아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 만성 흡인: 신경학적 문제나 식도 질환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소량의 액체가 폐로 들어가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

흡인은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신경학적 문제: 뇌졸중, 뇌성마비, 파킨슨병 등으로 인해 연하(삼킴)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
  • 식도 질환: 식도 협착, 식도암 등으로 인해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하기 어려워 흡인이 발생할 수 있다.
  • 의식 저하: 마취, 약물 과다 복용, 뇌 손상 등으로 인해 의식이 저하된 경우
  • 영유아의 미성숙한 연하 기능: 영유아는 아직 연하 기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흡인이 발생하기 쉽다.
  • 잘못된 식사 자세: 누워서 식사하거나, 엎드린 자세로 식사하는 경우

증상

흡인의 증상은 흡인된 물질의 양과 종류,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 급성 흡인: 기침, 질식, 호흡곤란, 청색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 만성 흡인: 반복적인 폐렴, 만성 기침, 쌕쌕거림,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흡인의 진단은 환자의 병력, 증상, 신체검진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한다.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 흉부 X선 촬영: 폐렴이나 폐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 (VFSS):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흡인 여부를 확인한다.
  • 기관지 내시경: 기도를 직접 관찰하여 이물질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시 제거한다.

치료

흡인의 치료는 흡인된 물질을 제거하고, 폐렴 등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물 제거: 하임리히법, 기관지 내시경 등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다.
  • 산소 공급: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 산소를 공급한다.
  • 항생제 치료: 폐렴이 발생한 경우 항생제를 투여한다.
  • 연하 재활 치료: 연하 기능에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연하 재활 치료를 시행한다.

예방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 올바른 식사 자세: 앉아서 식사하고, 음식을 천천히 잘 씹어 삼킨다.
  • 연하 기능 개선: 연하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연하 재활 치료를 받는다.
  • 음식 섭취 시 주의: 음식을 급하게 먹거나, 말하면서 먹는 것을 피한다.
  • 영유아 안전: 영유아에게는 작은 장난감이나 음식 조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관련 질환

  • 흡인성 폐렴
  • 기도 폐쇄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