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맥압
문맥압은 문맥(門脈)에 흐르는 혈액이 혈관 벽에 미치는 압력을 말한다. 문맥은 소화기관(위, 소장, 대장), 췌장, 비장 등에서 흡수된 영양분과 혈액을 모아 간으로 보내는 독특한 혈관 시스템이다. 간을 거친 혈액은 간정맥을 통해 최종적으로 전신 순환계로 합류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문맥압은 비교적 낮은 상태를 유지하며, 일반적으로 5~10 mmHg 정도이다. 이 압력은 문맥을 통해 간으로 유입되는 혈류량과 간 내 혈관의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임상적 중요성
문맥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한 상태를 문맥 고혈압(portal hypertension)이라고 한다. 문맥 고혈압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원인은 간경변증(간경화) 등으로 인해 간 내 혈관의 저항이 증가하여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지는 경우이다.
문맥 고혈압은 여러 가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식도 정맥류 및 위 정맥류: 문맥압이 높아지면서 혈액이 간을 우회하여 다른 작은 혈관(주로 식도와 위 주변의 정맥)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 혈관들이 부풀어 올라 정맥류를 형성한다. 정맥류가 파열되면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 복수(腹水): 문맥 내 압력 상승과 알부민 생성 감소 등으로 인해 복강 내에 체액이 축적된다.
- 비장 비대: 비장으로 가는 혈류의 정체로 인해 비장이 커진다.
- 간성 뇌증(hepatic encephalopathy): 문맥을 통해 흡수된 독성 물질(주로 암모니아)이 간에서 해독되지 못하고 전신 순환을 통해 뇌에 도달하여 뇌 기능 장애를 일으킨다.
측정
문맥압은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로 간정맥쐐기압(Hepatic Venous Wedge Pressure, HVPG) 측정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문맥 고혈압의 정도를 추정한다. 영상 검사(초음파, CT, MRI)나 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문맥 고혈압의 합병증 유무를 확인하기도 한다.
결론
문맥압 및 문맥 고혈압의 정확한 이해와 측정은 간 질환, 특히 간경변증 환자의 진단, 예후 판단, 그리고 식도 정맥류 출혈, 복수 등 심각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관련 항목:
- 문맥 고혈압
- 간경변증
- 식도 정맥류
- 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