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통풍 (痛風, Gout)은 혈액 내 요산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 결정이 관절, 힘줄, 신장 등의 조직에 침착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급성 통풍 발작은 주로 엄지발가락에서 시작되며, 심한 통증, 부종, 발적, 열감 등을 동반한다.
원인
통풍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요산 과다 생성: 체내에서 요산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퓨린 함량이 높은 음식 섭취 증가, 특정 질환 (예: 백혈병, 림프종) 등.
- 요산 배설 감소: 신장 기능 저하로 요산 배설 능력이 감소하거나, 특정 약물 복용 (예: 이뇨제), 탈수 등.
- 유전적 요인: 통풍 환자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 증가.
증상
통풍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급성 통풍 발작: 주로 밤에 갑자기 시작되는 심한 관절 통증, 부종, 발적, 열감. 엄지발가락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발목, 무릎, 손목, 팔꿈치 등 다른 관절에도 발생 가능.
- 간헐적 통풍: 급성 발작 후 증상이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형태. 발작 간격은 불규칙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발작 빈도와 강도가 증가할 수 있음.
- 만성 통풍: 오랜 기간 요산 수치가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관절 변형, 통풍 결절 (토파이), 신장 질환 등 발생 가능.
진단
통풍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 환자의 증상, 가족력, 과거력 등을 확인하고, 관절 상태를 평가.
- 혈액 검사: 혈중 요산 농도 측정.
- 관절액 검사: 관절액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요산 결정을 확인.
- 영상 검사: X-ray, 초음파, CT 등을 이용하여 관절 손상 및 통풍 결절 확인.
치료
통풍 치료의 목표는 통증 완화, 염증 감소, 요산 수치 조절이다.
- 급성 발작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s), 콜히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을 사용하여 통증과 염증 완화.
- 요산 수치 조절: 알로푸리놀, 페북소스타트, 프로베네시드 등을 사용하여 요산 생성 억제 또는 배설 촉진.
- 생활 습관 개선: 퓨린 함량이 높은 음식 (예: 붉은 육류, 내장, 등푸른 생선, 맥주) 섭취 제한, 충분한 수분 섭취, 적절한 체중 유지 등.
예방
통풍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건강한 식습관 유지: 퓨린 함량이 낮은 음식을 섭취하고, 과도한 음주를 피한다.
-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셔 요산 배설을 촉진한다.
- 적절한 체중 유지: 비만은 통풍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체중 관리가 중요하다.
- 정기적인 건강 검진: 혈중 요산 농도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전문가와 상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