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668건

낙동강하굿둑

낙동강하굿둑은 낙동강 하구에 건설된 둑 형태의 구조물이다.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과 사하구 하단동 일대를 연결하며, 낙동강의 민물과 남해의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1983년에 착공하여 1987년에 완공되었다.

건설 배경 및 목적

낙동강하굿둑 건설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염해 방지: 낙동강 하류 지역으로 바닷물이 역류하여 농경지나 취수원에 염분 피해를 주는 것을 막는다.
  • 용수 확보: 하구에 담수호를 형성하여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등 안정적인 용수 공급원을 확보한다.
  • 홍수 조절: 하류 지역의 홍수위를 낮추고 범람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완한다.
  • 교통 편의: 둑 위에 도로를 건설하여 강 하구를 건너는 교통의 편의성을 높인다.

구조 및 제원

총 길이는 약 2.5km이며, 여러 개의 수문을 갖추고 있어 강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둑 위에는 차량 통행이 가능한 도로(국도 제2호선 및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의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초기 설계 단계부터 어도(魚道) 설치가 논의되었으나, 생태계 보전 문제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영향 및 문제점

낙동강하굿둑 건설은 하류 지역의 용수 부족 및 염해 문제를 해결하고 교통을 개선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동시에 하구 생태계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했다.

  • 생태계 단절: 강과 바다를 오가는 회유성 어류(연어, 뱀장어 등)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여 생태계의 연결성을 끊었다.
  • 퇴적물 변화: 상류에서 내려오는 퇴적물이 하구둑에 막히면서 하구의 자연스러운 퇴적 패턴이 변화하고 삼각주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 수질 변화: 하구의 물 흐름과 해수 유입이 차단되면서 담수호의 수질 악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 철새 서식지 변화: 국제적으로 중요한 철새 도래지인 낙동강 하구의 환경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현재 및 향후 과제

최근에는 하굿둑으로 인한 생태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분적인 수문 개방을 통한 기수역(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구역) 복원 시도, 어도 개선, 생태 복원 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으며, 용수 확보와 생태계 보전이라는 상반된 목표 사이에서의 균형점 모색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