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206건

녹사

녹사는 한국의 역사에서 사용된 하급 관리의 직책명 중 하나이다. 주로 고려 및 조선 시대의 중앙 관청, 지방 관아, 군영 등 다양한 부서에서 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고려 시대에 녹사는 문하성, 중서문하성, 상서성 등의 중앙 관서나 지방의 주(州), 부(府) 등의 행정 단위에 배치되었다. 시기에 따라 품계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종9품이나 그 아래의 하위직에 해당했다. 문서 작성, 회계 관리, 잡무 처리 등 다양한 실무를 맡아 해당 부서의 운영을 보조했다.

조선 시대에도 녹사 직책은 유지되었으며, 중앙의 6조를 비롯한 여러 관서와 지방의 군현 등에 존재했다. 조선 시대의 녹사는 대개 참외직(蔘外職, 정9품 이하의 낮은 품계)이나 품계가 없는 비품계직에 해당했다. 주로 해당 관서의 잡무나 서무를 처리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부서의 성격에 따라서는 전문적인 실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녹사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각 부서의 기본적인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하급 관리직이었다. 품계가 낮고 잡무의 성격이 강했지만, 행정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에 필수적인 존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