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
나스 (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어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파일 저장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탑재하며, 자체적인 운영 체제를 내장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 서버로 기능한다. 사용자들은 개인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나스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저장, 공유, 관리할 수 있다.
주요 기능:
- 파일 저장 및 공유: 다양한 파일 형식을 저장하고 네트워크 상의 여러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접근 권한 설정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 데이터 백업: 개인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기능을 지원하는 모델은 데이터 중복성을 제공하여 데이터 안정성을 높인다.
- 미디어 스트리밍: 사진, 비디오,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네트워크 연결 기기로 스트리밍하여 재생할 수 있다. DLNA, UPnP 등의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 원격 접속: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나스에 접속하여 데이터에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보안을 위해 강력한 암호화 기능이 필요하다.
종류:
나스는 크기, 저장 용량, 성능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소규모 가정용부터 대규모 기업용까지 다양한 용도에 맞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장점:
- 데이터 중앙 집중 관리: 모든 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하여 관리가 용이하다.
- 데이터 공유 편의성: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용자가 손쉽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 데이터 백업 및 보호: 데이터 백업 및 복구 기능을 통해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단점:
- 초기 투자 비용: 구매 비용이 개별 저장 장치보다 높을 수 있다.
- 네트워크 의존성: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며, 네트워크 장애 시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다.
- 보안 위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관련 용어: RAID, DLNA, UPnP, FTP, SMB/CI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