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505건

김장생

김장생(金長生, 1548년 ~ 163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중헌(仲獻), 호는 징헌(徵軒)이다.

생애

김장생은 1548년(명종 3년)에 태어났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이황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였다. 이황의 사후에는 그의 학문을 계승하여 기호학파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그는 퇴계 이황의 학문을 충실히 계승, 발전시키면서 기호학파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관직에 나아가서는 예조 판서, 이조 판서 등의 요직을 역임하며 조정에서 활동하였으나, 정치에 크게 뜻을 두지는 않았다. 특히 인조반정 이후에는 정치에 더욱 회의를 느껴 은퇴하여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썼다. 1631년(인조 9년)에 8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학문

김장생은 퇴계 이황의 학문을 계승하여 기호학파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그는 이황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고 실천하여, 성리학의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고 보급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의 학문은 이황의 학문을 충실하게 따르면서도, 시대적 상황에 맞게 독창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특히 그는 실천적인 면에 중점을 두어, 학문을 단순히 이론적으로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삶에 적용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의 제자들 가운데는 많은 유학자들이 배출되어 조선 후기 성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저서

김장생은 다수의 저서를 남겼으나, 현재까지 전해지는 저서들은 많지 않다. 그의 저술들은 대부분 그의 제자들이 편찬한 문집인 『징헌집(徵軒集)』에 수록되어 있다. 『징헌집』에는 그의 시, 논문, 서간 등 다양한 글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의 학문과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평가

김장생은 조선 중기 성리학의 대표적인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황의 학문을 계승하여 기호학파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였고, 그의 제자들을 통해 기호학파의 학문적 전통을 확립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의 삶과 학문은 후대의 많은 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시대 성리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정치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지만, 학문과 제자 양성에 헌신하여 조선 성리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로 기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