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통계량

통계량 (統計量, statistic)은 표본에서 계산되는 값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하거나 검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 통계량은 표본 데이터를 요약하고 분석하여 얻어지는 수치적인 값이며, 이를 통해 모집단에 대한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개요

통계량은 표본의 함수이며, 따라서 표본이 달라지면 통계량의 값도 달라질 수 있다. 통계량은 추정량과 검정 통계량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추정량은 모집단의 모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량이며, 검정 통계량은 가설 검정에서 귀무 가설의 기각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주요 통계량

  • 표본 평균 (Sample Mean): 표본 데이터의 합을 표본 크기로 나눈 값으로, 모집단 평균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 표본 분산 (Sample Variance): 표본 데이터들이 표본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모집단 분산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 표본 표준 편차 (Sample Standard Deviation): 표본 분산의 제곱근으로, 표본 데이터의 흩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 중앙값 (Median): 표본 데이터를 크기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가장 가운데에 위치하는 값으로, 극단적인 값에 영향을 덜 받는다.
  • 최빈값 (Mode): 표본 데이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이다.
  • 범위 (Range): 표본 데이터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이다.
  • 사분위수 범위 (Interquartile Range, IQR): 제3사분위수(Q3)에서 제1사분위수(Q1)를 뺀 값으로, 데이터의 중간 50%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 두 변수 간의 선형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는 값이다.

활용

통계량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의학 연구에서는 새로운 약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환자 그룹의 혈압 변화, 생존율 등의 통계량을 분석한다. 경제학에서는 경제 성장률, 실업률 등의 통계량을 분석하여 경제 상황을 파악하고 예측한다. 사회학에서는 여론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사회적 추세를 파악한다. 마케팅에서는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주의 사항

통계량은 표본에서 계산된 값이므로, 표본의 크기가 작거나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는 경우, 통계량을 통해 모집단에 대한 정확한 추론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통계량을 사용할 때에는 표본의 크기와 표본 추출 방법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또한, 통계량은 확률 변수이므로, 통계량의 분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계적 추론을 수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