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7,456건

규산질

규산질은 규소(Si)와 산소(O)를 주성분으로 하는 규산염 광물이나 이들을 포함하는 암석, 물질의 성질을 일컫는 용어이다. 주로 이산화 규소(SiO₂) 또는 규산염 이온(SiO₄⁴⁻)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개요 규산질 물질은 지구 지각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광물학 및 암석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대표적인 규산질 광물로는 석영(Quartz, SiO₂), 장석류(Feldspar), 운모류(Mica), 각섬석류(Amphibole), 휘석류(Pyroxene) 등이 있다. 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복잡한 결정 구조를 형성하며,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암석(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일부)을 구성하는 주요 조암 광물이다.

특징 및 용도 규산질 물질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경도를 가지며,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건설 자재(시멘트, 콘크리트 골재), 유리, 도자기, 내화벽돌, 연마재, 전자 부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특히 이산화 규소는 순도가 높을수록 광학 섬유나 반도체 웨이퍼 등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로 사용된다.

지질학적 의미 암석의 규산질 함량은 암석 분류의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화성암의 경우, 규산질 함량이 높은 암석(예: 화강암)은 '산성암' 또는 '규장질암'이라 불리며 점성이 높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결정화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규산질 함량이 낮은 암석(예: 현무암)은 '염기성암' 또는 '고철질암'이라 불리며 점성이 낮고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결정화된다. 이러한 규산질 함량의 차이는 마그마의 성질과 분화 과정, 그리고 형성되는 암석의 종류와 물리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