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843건

굴촉성

굴촉성 (屈觸性, 영어: Thigmotropism)은 식물이 물리적인 접촉이나 자극에 반응하여 특정 방향으로 굽거나 자라는 성질을 의미한다. 이는 식물의 여러 가지 굴성(tropism), 즉 외부 자극의 방향에 따라 성장 방향이 결정되는 현상 중 하나이다. 주로 식물의 줄기, 덩굴손, 뿌리 등에서 관찰된다.

특징 및 종류

굴촉성은 접촉된 부위와 접촉되지 않은 부위의 성장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접촉된 부위의 성장이 억제되거나, 반대쪽 부위의 성장이 촉진됨으로써 식물체가 자극원 쪽으로 또는 자극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된다. 굴촉성은 반응 방향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양성 굴촉성 (Positive Thigmotropism): 자극원, 즉 접촉하는 대상 쪽으로 굽어 자라는 성질이다. 완두콩, 오이, 나팔꽃 등 덩굴식물의 덩굴손이 지지대를 만나면 이를 감고 올라가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식물이 지지대를 찾아 몸을 고정하고 더 높이 올라가 햇빛을 효율적으로 받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음성 굴촉성 (Negative Thigmotropism): 자극원, 즉 접촉하는 대상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 자라는 성질이다. 식물의 뿌리가 토양 속의 돌이나 기타 단단한 장애물을 만나면 이를 피해 다른 방향으로 자라는 것이 일반적인 예이다. 이는 뿌리가 토양 속 장애물을 회피하여 영양분과 물을 찾아 효율적으로 성장하고 넓게 퍼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작

굴촉성의 정확한 기작은 복잡하지만, 세포막의 이온 채널 활성화, 칼슘 이온 농도 변화, 옥신(auxin)과 같은 식물 호르몬의 분포 변화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접촉 자극이 식물 세포에 전달되면 특정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호르몬의 이동이나 합성이 조절되어 결국 세포 신장 속도의 차이를 유발하고 굽어짐 현상으로 이어진다.

중요성

굴촉성은 식물이 생존하고 번식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덩굴식물에게는 지지대를 찾아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고, 뿌리에게는 토양 환경 속에서 장애물을 피해 생장함으로써 수분과 양분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