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 (사회복지학)
사정(assessment)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고, 그 문제의 원인과 유지 요인을 분석하여 개입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사회복지사는 사정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자원, 문제의 심각성, 위험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적의 개입 전략을 선택한다. 단순히 문제점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맥락과 상황을 고려하여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정의 목적
-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를 명확하게 파악한다.
- 문제의 원인과 유지 요인을 분석한다.
-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자원을 확인한다.
- 개입 목표와 계획을 설정한다.
- 서비스 제공의 효과성을 평가한다.
사정의 과정
사정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그러나 실제 과정은 클라이언트의 상황과 문제의 복잡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 정보 수집: 인터뷰, 관찰, 검사, 기록 검토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 정보 분석: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의 원인과 유지 요인을 파악한다.
- 문제 정의: 클라이언트의 주요 문제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한다.
- 목표 설정: 클라이언트와 함께 개입 목표를 설정한다. 목표는 측정 가능하고 현실적이며 달성 가능해야 한다.
- 개입 계획 수립: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개입 계획을 수립한다. 여기에는 개입 방법, 자원 활용, 시간표 등이 포함된다.
사정에 사용되는 방법
- 면접: 클라이언트와 직접 대화하며 정보를 얻는 방법.
- 관찰: 클라이언트의 행동과 상황을 직접 관찰하여 정보를 얻는 방법.
- 기록 검토: 클라이언트의 과거 기록(의료 기록, 학교 기록 등)을 검토하여 정보를 얻는 방법.
- 검사 및 평가 도구: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
- 네트워크 접촉: 가족, 친구, 다른 전문가 등 클라이언트의 주변 사람들과 접촉하여 정보를 얻는 방법.
사정의 중요성
효과적인 사회복지 개입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포괄적인 사정이 필수적이다. 잘못된 사정은 부적절한 개입으로 이어져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윤리적이고 전문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사정 과정을 거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