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43건

공공재

공공재 (公共財, public goods)는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비경합성(non-rivalry)과 비배제성(non-excludability)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지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시장에서 적절한 수준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시장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정의:

    • 비경합성: 한 사람이 공공재를 소비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소비 가능성이 줄어들지 않는 특성이다. 즉, 여러 사람이 동시에 동일한 양의 재화를 소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원 내 가로등은 한 사람이 빛을 받는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빛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 비배제성: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는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공공재 소비를 막을 수 없는 특성이다. 즉,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사람도 재화나 서비스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방 서비스는 세금을 내지 않은 사람이라도 국가의 보호를 받게 된다.
  • 유형:

    • 순수 공공재: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을 모두 완벽하게 갖춘 재화이다. 완전한 순수 공공재는 현실에서 찾기 어렵다. 국방, 치안 등이 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 혼합 공공재 (또는 준공공재): 비경합성 또는 비배제성 중 하나만 갖추거나, 두 가지 특성이 일부만 존재하는 재화이다. 예를 들어, 유료 고속도로는 통행료를 통해 배제성을 확보하지만, 교통 체증이 없을 경우 비경합성을 가진다. 공원, 케이블TV 등도 혼합 공공재에 해당한다.
  • 문제점:

    • 무임승차 문제 (Free-rider problem): 공공재의 비배제성 때문에 사람들은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혜택을 누리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공공재 공급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공공재가 과소 공급될 수 있다.
    • 과소 공급 문제: 시장 기구를 통해 자율적으로 공급될 경우, 기업은 수익성이 낮아 생산을 꺼리게 된다. 따라서 정부나 공공기관이 개입하여 세금이나 기금 등을 통해 공공재를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공공재의 예:

    • 국방
    • 치안
    • 소방
    • 공원
    • 가로등
    • 대기 정화
    • 연구 개발 (기초 과학 연구)
  • 관련 개념:

    • 공유 자원 (Common-pool resource): 경합성은 있지만 비배제성은 없는 재화.
    • 클럽재 (Club goods): 배제성은 있지만 비경합성은 있는 재화.
    • 사적 재화 (Private goods): 경합성과 배제성을 모두 갖춘 재화.

공공재의 적절한 공급은 사회 전체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부는 다양한 정책 수단을 통해 공공재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