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978건

골밀도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는 뼈의 단위 면적당 또는 단위 부피당 존재하는 무기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뼈의 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골다공증 진단 및 골절 위험도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골밀도가 낮을수록 뼈가 약해져 골절의 위험이 증가한다.

측정 방법

골밀도 측정은 주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 계측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또는 DEXA)을 사용한다. DXA는 낮은 선량의 X선을 이용하여 척추, 대퇴골 등 특정 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한다. 측정 결과는 T-점수(T-score)와 Z-점수(Z-score)로 표시된다.

  • T-점수: 젊은 성인(20-29세)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한 값으로, 골다공증 진단 기준으로 사용된다. T-점수가 -2.5 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진단된다.
  • Z-점수: 같은 연령대의 사람들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한 값으로,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영향 요인

골밀도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식습관, 운동량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칼슘과 비타민 D 섭취 부족, 운동 부족, 흡연, 과도한 음주 등은 골밀도를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여성의 경우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골밀도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관리

골밀도 관리는 골다공증 예방 및 골절 위험 감소를 위해 중요하다. 칼슘과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골밀도 검사를 통해 자신의 골밀도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골다공증 치료제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SERM(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데노수맙 등이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