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고려가요

고려가요는 고려 시대에 평민들 사이에서 구전되던 노래를 조선 시대에 문자로 기록한 시가의 한 종류이다. 속요(俗謠) 또는 장가(長歌)라고도 불리며, 조선 시대에 궁중 음악으로도 향유되었다.

개요

고려가요는 대부분 작자 미상이며, 구전되던 노래인 만큼 평민들의 솔직하고 생생한 삶의 모습과 정서가 담겨 있다. 남녀 간의 사랑, 이별의 슬픔, 삶의 애환 등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표현하였으며, 직설적이고 대담한 표현이 특징이다.

형식

고려가요는 대부분 연장체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후렴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후렴구는 내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흥을 돋우고 전체적인 통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분절체 형식을 띄며, 각 연은 대개 3음보 또는 4음보로 이루어져 있다.

특징

  • 평민들의 정서: 고려가요는 평민들의 삶과 정서를 진솔하게 반영하고 있다. 사랑, 이별, 고독, 삶의 고달픔 등 다양한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 구전 문학의 특성: 구전되던 노래인 만큼, 구어체의 표현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반복과 과장 등 다양한 표현 기법이 나타난다.
  • 여음구와 후렴구: 각 연마다 여음구나 후렴구가 반복적으로 등장하여 음악적인 효과를 높이고, 전체적인 통일성을 부여한다.
  • 직설적인 표현: 남녀 간의 사랑이나 욕망을 솔직하고 대담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고려가요

  • 《청산별곡》
  • 《서경별곡》
  • 《가시리》
  • 《정과정》
  • 《쌍화점》

문학사적 의의

고려가요는 평민들의 삶과 정서를 담은 귀중한 문학 유산이며, 후대 시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 시대 시조와 가사의 형식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민요 문학의 전통을 이어가는 데 기여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고려가요 연구 (각종 논문 및 연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