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개찰구

개찰구는 대중교통 시설, 특히 철도역이나 지하철역 등에서 승차권을 확인하고 승객의 통행을 통제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승객은 유효한 승차권 (종이 승차권, 교통카드, 모바일 티켓 등)을 개찰구에 투입하거나 태그하여 통과할 수 있다.

기능 및 작동 방식:

개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승차권 확인: 승객이 제시한 승차권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무임승차를 방지한다.
  • 통행 제어: 유효한 승차권을 소지한 승객만 통과하도록 통로를 개방하고, 무임승차 시도 시에는 통행을 차단한다.
  • 통계 정보 수집: 통과하는 승객의 수, 시간대별 이용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운송 계획 및 서비스 개선에 활용한다.

개찰구의 작동 방식은 승차권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승차권을 사용하는 경우 개찰구는 승차권의 자기 띠 정보를 읽어 유효성을 판단하며,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무선통신(RFID) 기술을 통해 카드 정보를 인식한다.

종류:

개찰구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며, 대표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회전식 개찰구 (Turnstile): 회전하는 막대를 이용하여 한 명씩 통과하도록 설계된 개찰구이다. 보안성이 높지만, 장애인이나 짐이 많은 승객에게는 불편할 수 있다.
  • 게이트형 개찰구 (Gate-type):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문(게이트)을 이용하여 통행을 제어하는 개찰구이다. 휠체어 이용자나 유모차를 동반한 승객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QR코드/바코드 인식 개찰구: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발급된 QR코드나 바코드를 스캔하여 통과하는 방식의 개찰구이다.

편의 시설:

최근에는 교통약자를 위한 넓은 폭의 개찰구, 음성 안내 기능,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표기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춘 개찰구가 보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