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623건

간석기

간석기(磨製石器, ground stone tool)는 신석기 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로, 이전 시대의 뗀석기(打製石器)와 달리 돌을 갈아서 만든 도구를 의미한다. 뗀석기는 돌을 깨뜨려 날카로운 날을 만들었다면, 간석기는 돌을 갈고 다듬어 원하는 형태와 기능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작 방법

간석기는 주로 단단한 돌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돌 선택: 단단하고 결이 고운 돌을 선택한다. 흑요석, 규암, 사암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2. 대략적인 형태 만들기: 망치돌 등을 이용하여 돌을 깨거나 떼어내 대략적인 형태를 만든다.
  3. 갈기: 물과 모래 등을 사용하여 돌을 다른 돌이나 숫돌에 갈아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날을 세운다. 이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4. 다듬기: 필요에 따라 돌을 쪼거나 긁어내어 최종 형태를 다듬는다.

종류 및 용도

간석기는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제작되었으며, 대표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갈돌과 갈판: 곡물을 갈아 가루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 돌괭이, 돌삽: 땅을 일구는 데 사용되었다.
  • 돌도끼, 돌칼: 나무를 베거나 사냥감을 잡는 데 사용되었다.
  • 화살촉, 창촉: 사냥이나 전쟁에 사용되었다.
  • 돌낫: 곡식을 수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의의

간석기의 사용은 인류의 기술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뗀석기보다 정교하고 효율적인 도구를 만들 수 있게 되면서 농경 생활의 발달을 촉진하고, 인류의 식량 생산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간석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지식은 이후 청동기, 철기 시대로 이어지는 금속 도구 발달의 토대가 되었다.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로서, 당시 사회의 기술 수준과 생활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