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147건

가정법

가정법은 사실이 아닌 것이나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가정을 나타내거나, 소망, 후회, 추측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문법 범주이다. 현실과는 다른 상황을 상상하거나 가정할 때, 또는 특정한 조건을 제시할 때 활용된다.

정의 및 특징

가정법은 일반적으로 직설법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동사 형태나 구문을 사용한다. 이는 단순히 사실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의 심리적 태도나 주관적인 판단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가정법은 조건절(if 절)과 주절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조건절의 내용이 충족될 경우 주절의 내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가정을 내포한다.

가정법의 종류

  •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을 나타낸다. 조건절에는 과거 동사(be 동사의 경우 'were')를 사용하고, 주절에는 'would/should/could/might + 동사원형'을 사용한다.

    예: If I were you, I wouldn't do that. (내가 너라면, 그런 짓을 하지 않을 텐데.)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을 나타낸다. 조건절에는 과거완료(had + 과거분사)를 사용하고, 주절에는 'would/should/could/might + have + 과거분사'를 사용한다.

    예: If I had studied harder,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시험에 합격했을 텐데.)

  • 가정법 미래: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거나 불확실한 미래의 가정을 나타낸다. 조건절에는 'should + 동사원형' 또는 'were to + 동사원형'을 사용하고, 주절에는 'would/should/could/might + 동사원형'을 사용한다.

    예: If it should rain tomorrow, we will stay at home. (만약 내일 비가 온다면, 우리는 집에 있을 것이다.)

  • 혼합 가정법: 과거의 조건이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나타낸다. 조건절에는 과거완료를 사용하고, 주절에는 'would/should/could/might + 동사원형'을 사용한다.

    예: If I had taken that job, I would be rich now. (내가 그 직업을 가졌더라면, 지금 부자일 텐데.)

기타 표현

가정법은 'I wish' 구문이나 'as if/as though' 구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특정 관용구에서도 사용된다.

예: I wish I had more time. (시간이 더 있었으면 좋겠다.)

He acts as if he were a king. (그는 마치 왕인 것처럼 행동한다.)

참고 문헌

  • (영문법 관련 서적 및 자료)

관련 항목

  • 직설법
  • 조건문
  • 가정법 화법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