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프로그래밍 언어)
C는 1972년 벨 연구소의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가 개발한 명령형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초기에는 유닉스 운영 체제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이후 다양한 운영 체제와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범용적인 언어로 발전했다.
특징
-
구조적 프로그래밍: C는 함수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구조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지원한다. 코드의 모듈화와 재사용성을 높여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합하다.
-
저수준 접근: C는 메모리 주소 직접 접근, 비트 연산 등 하드웨어와 밀접한 저수준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은 운영 체제, 임베디드 시스템,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 시스템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강점을 가진다.
-
이식성: C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파일러만 있다면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는 C가 표준화된 언어이고, 하드웨어에 대한 추상화 수준이 비교적 높기 때문이다.
-
성능: C는 다른 고급 언어에 비해 컴파일된 실행 파일의 크기가 작고, 실행 속도가 빠르다. 이는 C가 하드웨어에 직접적으로 접근하고, 불필요한 추상화 계층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
포인터: C는 포인터라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로, 동적 메모리 할당, 자료 구조 구현, 함수 포인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하지만 포인터는 잘못 사용하면 프로그램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활용 분야
-
운영 체제: 유닉스, 리눅스, 윈도우 등 대부분의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은 C로 작성되었다.
-
임베디드 시스템: 냉장고, 세탁기, 자동차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은 C로 개발된다.
-
시스템 프로그래밍: 컴파일러, 디버거, 라이브러리 등 시스템 프로그래밍 도구는 C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
게임 개발: 고성능이 요구되는 게임 엔진 및 게임 로직 개발에 C 또는 C++가 주로 사용된다.
-
데이터베이스: 오라클, MySQL, PostgreSQL 등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C로 개발되었다.
영향
C는 이후 등장한 C++, Java, C#, Python 등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 C의 문법과 개념은 현대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인 토대가 되었다.
단점
-
메모리 관리: C는 개발자가 직접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해야 한다. 메모리 누수나 잘못된 메모리 접근은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지원 부족: C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않는다. C++는 C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기능을 확장한 언어이다.
-
안전성 문제: C는 메모리 접근 오류나 버퍼 오버플로우 등 보안 취약점이 발생하기 쉽다.
참고 자료
- Kernighan, Brian W.; Ritchie, Dennis M. (1988). The C Programming Language (2nd ed.). Prentice Hall. ISBN 0-13-1103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