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적 오류
형식적 오류 (Formal fallacy)는 논리학에서 논증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를 의미한다. 이는 논증의 내용이나 전제의 진위 여부와는 상관없이, 논증을 구성하는 규칙 자체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따라서 논증의 형식을 분석함으로써 오류를 식별할 수 있으며, 내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없이도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형식적 오류는 주로 연역 논증에서 발생하며, 결론이 전제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되지 않는 경우에 나타난다. 연역 논증은 전제가 참일 경우 결론이 반드시 참이 되어야 하지만, 형식적 오류가 있는 논증은 전제가 참이라 하더라도 결론이 참이라는 보장이 없다.
형식적 오류의 예시:
-
전건 부정의 오류: "만약 A라면 B이다. A가 아니다. 따라서 B가 아니다." 라는 형태의 논증. 예를 들어, "비가 오면 땅이 젖는다. 비가 오지 않는다. 따라서 땅이 젖지 않았다." 라는 논증은 전건 부정의 오류에 해당한다. 땅이 젖는 이유는 비 외에도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후건 긍정의 오류: "만약 A라면 B이다. B이다. 따라서 A이다." 라는 형태의 논증. 예를 들어, "비가 오면 땅이 젖는다. 땅이 젖었다. 따라서 비가 왔다." 라는 논증은 후건 긍정의 오류에 해당한다. 땅이 젖은 이유가 비 외에도 물을 뿌렸기 때문일 수 있다.
-
선언지 긍정의 오류: "A 또는 B이다. A이다. 따라서 B가 아니다." 라는 형태의 논증. 예를 들어, "나는 밥을 먹거나 빵을 먹을 것이다. 나는 밥을 먹었다. 따라서 나는 빵을 먹지 않았다." 라는 논증은 선언지 긍정의 오류에 해당한다. 밥과 빵을 둘 다 먹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형식적 오류는 논증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며, 논리적 사고를 훈련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