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9,844건

천역

천역 (天疫)은 하늘에서 내린 전염병이라는 뜻으로, 주로 과거에 원인 불명의 전염병이 창궐했을 때 사용하던 표현이다. 과학적 이해가 부족했던 시대에는 질병의 원인을 자연 현상이나 초자연적인 힘과 연결 짓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전염병과 같이 사회 전체에 큰 피해를 주는 현상에 대해서는 하늘의 뜻, 즉 천벌(天罰)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역사적 맥락

천역이라는 용어는 주로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 과거 기록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시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의 존재를 알지 못했기 때문에, 전염병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하늘에 제사를 지내거나 기도를 올리는 등 종교적인 행위를 통해 천역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현대적 의미

현대에 들어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전염병의 원인과 확산 경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면서, 천역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유행하는 전염병을 지칭할 때는 ‘역병’, ‘전염병’, ‘감염병’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여전히 재난 상황을 묘사하거나 과거의 사건을 언급할 때 은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관련 용어

  • 역병(疫病): 전염성이 강하고 사망률이 높은 질병을 통칭하는 말.
  • 천벌(天罰): 하늘의 뜻을 거스른 자에게 내리는 벌. 과거에는 전염병을 천벌의 일종으로 여기기도 했다.
  • 괴질(怪疾):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상한 질병.

참고 문헌

  • 조선왕조실록
  • 승정원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