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294건

폴리 도뇨관

폴리 도뇨관(Foley catheter)은 소변을 방광에서 체외로 배출하기 위해 요도를 통해 삽입하는 부드러운 관(도뇨관)의 일종이다. 다른 종류의 도뇨관과 달리, 폴리 도뇨관은 방광 내에서 작은 풍선을 부풀려 관이 우발적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특징이 있다. 주로 환자 스스로 소변을 보기 어렵거나,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정확한 소변량 측정이 필요하거나, 방광 세척 등이 필요할 때 장기간 또는 단기간 유치(留置)하는 데 사용된다.

역사 폴리 도뇨관은 미국의 비뇨기과 의사인 프레더릭 폴리(Frederic Foley) 박사가 1929년에 개발하고 1930년대에 상용화한 도뇨관 디자인의 한 유형이다. 그의 이름을 따서 '폴리 도뇨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구조 폴리 도뇨관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1. 도뇨관 본체: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삽입되는 주된 관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라텍스, 실리콘 또는 이들을 혼합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재질에 따라 사용 기간이나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성이 다를 수 있다.
  2. 소변 배출 통로: 방광 내 소변이 이 통로를 통해 외부의 소변 수집 주머니로 흘러나오게 된다.
  3. 풍선 주입 통로: 관의 측면에 있는 작은 통로로, 끝 부분에 있는 풍선을 부풀리기 위한 멸균수(또는 식염수)를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주입된 물의 양은 풍선의 크기를 결정하며, 도뇨관 규격에 따라 적정량이 표시되어 있다.
  4. 풍선: 도뇨관 끝 부분(방광 내에 위치할 부분)에 부착된 작은 풍선이다. 풍선 주입 통로를 통해 물을 주입하면 부풀어 올라 방광 목에 걸리면서 도뇨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폴리 도뇨관은 방광 세척이나 약물 주입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세 번째 통로를 가지기도 한다.

사용 목적 및 적응증 폴리 도뇨관은 다양한 의학적 상황에서 사용된다.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소변 배출 어려움: 신경학적 질환(예: 척수 손상, 다발성 경화증), 요로 폐쇄, 수술 후 마취 효과 등으로 인해 환자 스스로 소변을 볼 수 없을 때 사용한다.
  • 소변량 측정: 중환자, 쇼크 환자, 심부전 환자 등 정확한 시간당 소변량 측정이 필수적인 경우 사용한다.
  • 수술 중/후 관리: 비뇨기과 수술을 포함한 특정 수술 전후에 방광을 비우거나 소변 배출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 방광 세척 및 약물 주입: 방광 내 출혈이 있거나 감염 치료를 위해 방광에 직접 약물을 주입할 때 사용될 수 있다.
  • 욕창 관리: 심한 요실금으로 인해 피부 손상(욕창)이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장기간 침상 안정: 중증 질환으로 인해 장기간 움직이기 어려운 환자의 소변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삽입 및 제거 폴리 도뇨관은 의료 전문가(의사, 간호사 등)에 의해 멸균된 상태에서 삽입된다. 요도 입구를 소독한 후 윤활제를 바른 도뇨관을 요도를 따라 방광까지 부드럽게 삽입한다. 도뇨관 끝에서 소변이 흘러나오면 방광에 도달했음을 확인하고, 풍선 주입 통로를 통해 멸균수를 주입하여 풍선을 부풀린다. 이후 도뇨관의 소변 배출 통로를 소변 수집 주머니에 연결한다.

도뇨관을 제거할 때는 풍선 주입 통로를 통해 풍선 내의 물을 완전히 빼내 풍선을 수축시킨 후 조심스럽게 관을 빼낸다.

합병증 및 위험 폴리 도뇨관의 사용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잠재적인 합병증이나 위험을 동반할 수 있다.

  • 요로 감염(UTI): 폴리 도뇨관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도뇨관을 통해 세균이 방광으로 침입하여 발생한다. 유치 기간이 길수록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 요도 손상: 삽입 또는 제거 과정에서 부주의하거나 윤활이 불충분할 경우 요도 점막에 손상을 입히거나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풍선이 충분히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거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 방광 경련: 도뇨관이 방광을 자극하여 불쾌감, 통증, 또는 소변 누출을 유발하는 방광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 요도 협착: 장기간 사용 시 요도에 염증이나 손상을 유발하여 요도 협착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 풍선 문제: 풍선이 제대로 부풀지 않거나, 자발적으로 수축되거나, 제거 시 물이 잘 빠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도뇨관 막힘: 혈전, 점액, 침전물 등으로 인해 도뇨관이 막혀 소변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엄격한 멸균 기술로 삽입하고, 도뇨관 관리를 철저히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최소한의 기간 동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항목

  • 도뇨관
  • 간헐적 도뇨
  • 요로 감염
  • 방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