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
향교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립된 공립 교육 기관이자 지방민의 교화를 목적으로 한 기관이다. 성균관과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교육 기관으로, 현재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한다. 각 고을에 설치되어 유학을 교육하고 지방민의 교화를 담당했으며, 국가에서는 향교 운영을 지원하고 교관을 파견하여 교육을 장려했다.
역사
향교는 고려 인종 때 처음 설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전국 각지에 확대 설치되었다. 특히 조선 태종 때 향교 정비 사업이 이루어지면서 향교의 위상이 더욱 강화되었다. 향교는 교육 기능 외에도 지방 양반 자제의 사교 공간이자, 지역 유림의 공론장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기능
향교의 주요 기능은 유학 교육이다. 학생들은 사서삼경을 비롯한 유교 경전을 학습하며, 과거 시험 준비를 위한 교육을 받았다. 또한, 향교는 지방민에게 유교 윤리를 보급하고 풍속을 교정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봄, 가을에는 석전제를 거행하여 공자를 비롯한 유학자를 기리는 제례를 올리기도 했다.
구성
향교는 일반적으로 교육 공간과 제례 공간으로 구성된다. 교육 공간으로는 명륜당이 있으며, 학생들이 공부하는 곳이다. 제례 공간으로는 대성전이 있으며, 공자를 비롯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이 외에도 동재와 서재는 학생들이 기거하는 공간이며, 장서각은 책을 보관하는 곳이다.
현황
현재 전국에는 많은 향교가 남아 있으며,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일부 향교에서는 전통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 행사 등을 개최하여 그 기능을 이어가고 있다. 향교는 조선 시대 교육 제도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했던 역사적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