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7,868건

향가

향가(鄕歌)는 삼국시대 신라에서 발생한 고유의 시가(詩歌) 형식이다. 한자어로는 향가(鄕歌), 또는 향악(鄕樂)이라 부르며, '토착적인 노래'라는 의미를 지닌다. 현전하는 향가 작품들은 대부분 《삼국유사》와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으며, 주로 신화, 설화, 서정, 유교적 교훈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향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고유한 운율과 형식: 향가는 고유의 운율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정형시와 비정형시가 혼재되어 있다. 대표적인 형식으로는 4구체, 8구체 등이 있으며, 이러한 형식은 음절수와 어미의 규칙성 등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모든 향가가 일정한 형식을 따르는 것은 아니며, 자유로운 형식을 취하는 작품들도 존재한다.

  • 한자와 고유어의 혼용: 향가는 한자를 차용하여 만든 한자어와 고유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한자어의 사용은 고유어의 의미를 보충하거나 강조하는 데 그치며, 전반적으로 고유어의 비중이 높다.

  • 신화, 설화, 서정 등 다양한 소재: 향가는 신화나 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부터, 개인적인 감정이나 경험을 노래한 서정시, 불교적인 사상이나 유교적인 교훈을 담은 작품까지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 음악과의 결합: 향가는 음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악곡과 함께 불려졌다. 현재는 음악이 전승되지 않아 그 원형을 알 수 없지만, 향가의 운율과 형식은 음악적 요소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한문학과의 차이점: 한문으로 쓰여진 시가와는 달리, 향가는 우리말로 쓰여진 고유의 시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를 통해 우리말과 우리 문화의 독자성을 확인할 수 있다.

향가 연구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현전하는 자료의 부족과 해석의 어려움 때문에 여러 논쟁점이 존재한다. 특히, 향가의 음악적 요소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향가는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우리 고유의 시가 전통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하지만, 많은 부분이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어, 향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