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42건

항암제

항암제 (抗癌劑, anticancer drug)는 암세포의 성장, 증식, 또는 전이를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약물이다. 화학요법제라고도 불리며, 암 치료의 주요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된다.

개요

암은 비정상적인 세포가 통제되지 않고 증식하여 발생하는 질병이다. 항암제는 이러한 암세포의 특정 생존 기전이나 대사 과정을 표적으로 삼아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성장을 늦춘다. 항암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수술, 방사선 치료, 면역 요법 등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작용 기전

항암제는 다양한 작용 기전을 통해 암세포를 공격한다. 주요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다.

  • DNA 손상: 일부 항암제는 암세포의 DNA를 손상시켜 세포 분열을 막고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 세포 분열 억제: 세포 분열에 필수적인 특정 효소나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다.
  • 혈관 신생 억제: 암세포의 성장에 필요한 혈관 생성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영양 공급을 차단한다.
  • 세포 사멸 유도: 암세포 스스로 파괴되도록 유도하는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한다.
  • 호르몬 작용 억제: 특정 호르몬에 의존하여 성장하는 암세포의 호르몬 수용체를 차단하거나 호르몬 생성을 억제한다.

종류

항암제는 작용 기전, 화학 구조, 기원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알킬화제: DNA를 알킬화시켜 손상을 유발하는 약물.
  • 대사 길항제: DNA나 RNA 합성에 필요한 물질과 유사한 구조를 가져 정상적인 대사 과정을 방해하는 약물.
  • 항생제: 세균에서 유래된 물질로, DNA에 결합하거나 세포 분열을 억제하는 약물.
  • 미세소관 억제제: 세포 분열에 필요한 미세소관 형성을 억제하는 약물.
  •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 DNA 꼬임을 풀어주는 토포아이소머라제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 표적 치료제: 암세포의 특정 분자 표적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약물 (예: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단클론항체).
  • 호르몬 치료제: 호르몬 수용체를 차단하거나 호르몬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
  • 면역관문 억제제: 면역 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약물.

부작용

항암제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탈모, 구역, 구토, 설사, 피로,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빈혈 등이 있다. 부작용의 종류와 정도는 사용되는 항암제의 종류, 용량, 환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주의사항

항암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과 감독하에 사용해야 한다. 환자는 항암제 사용 전후에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고,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임산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항암제 사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