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기술사
항공기체기술사는 대한민국의 국가기술자격 중 하나로, 항공기 기체(Airframe) 분야에 대한 최고 수준의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갖춘 기술인력에게 부여되는 자격이다.
이 자격 취득자는 항공기 동체, 날개, 미익(꼬리날개), 착륙장치 등 항공기의 주요 구조물에 대한 설계, 구조 해석, 제작, 생산 기술 개발, 시험 평가, 성능 개선, 안전성 확보 및 인증 관련 업무를 총괄적으로 수행한다. 항공기 구조의 강도, 안정성, 내구성, 피로, 파괴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최적의 설계를 제시하고 제작 및 정비 과정에서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항공기 기술 관련 법규 및 기준을 준수하며 기술 발전을 선도하는 책임 있는 위치에 있다.
항공기체기술사 자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합격해야 취득할 수 있다. 응시 자격은 관련 분야의 일정 기간 실무 경력이나 관련 학력 등을 요구하며,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을 거쳐 최종 합격자가 결정된다. 이는 해당 분야의 이론과 실무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이다.
항공기체기술사는 항공기 안전 운항 및 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항공기 구조 결함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들의 전문성은 항공기 설계, 제작, 운용 및 정비의 모든 단계에서 안전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국내 항공우주 산업계에서 연구 개발, 생산, 정비 분야의 리더로서 활동하며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나간다.
항공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등 관련 공학 분야의 지식이 요구되며, 항공기 제작사, 항공사, 정비업체, 연구기관, 정부 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