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4,090건

다랑이

다랑이는 경사진 산비탈이나 구릉지에 층층이 계단을 이루도록 쌓아 만든 계단식 농지를 의미한다. 주로 논으로 이용되어 벼를 재배하는 데 쓰이지만, 밭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특징 다랑이는 비탈면을 따라 돌담이나 흙으로 경계를 쌓아 여러 단의 좁고 긴 논밭을 만든 형태이다. 경사가 심한 지형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 고안된 전통적인 농업 방식으로, 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토양 유실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좁은 면적과 계단식 구조로 인해 기계화된 영농이 어렵고 대부분의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역사 및 분포 다랑이는 산지가 많은 한국의 지형적 특성을 극복하고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 발달하였다. 삼국시대부터 계단식 논이 만들어진 기록이 있으며, 특히 평야가 부족한 남해안과 같은 해안 지역이나 산간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식량 생산 기반이었으며, 척박한 환경을 개척한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유산이다.

현재 현대에는 농업 생산 기능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여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잘 보존된 다랑이 논밭은 자연과 어우러진 독특한 풍경을 제공하며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명승으로 지정된 남해 가천 다랑이마을이 유명하다.

관련 용어

  • 논 다랑이: 벼 재배를 위해 물을 가두어 놓는 계단식 논.
  • 밭 다랑이: 물을 대지 않고 작물을 재배하는 계단식 밭.

다랑이와 유사한 형태의 계단식 농지는 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각 지역의 지형적, 기후적 조건에 맞춰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