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
통사 (統辭, Syntax)는 언어학의 한 분야로, 단어들이 모여 구, 절, 문장과 같은 더 큰 단위의 문법적 구조를 형성하는 규칙과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문장 내에서 단어와 구절이 어떻게 배열되고 결합되어 의미 있는 문장을 구성하는지를 다룬다. 통사는 문법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이며, 형태론(Morphology)과 함께 언어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사론은 단순히 단어의 나열이 아닌, 문장 내 단어들의 계층적 관계와 기능, 그리고 이러한 관계가 어떻게 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주어, 동사, 목적어와 같은 문장 성분들의 순서와 역할을 규명하고,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 접속사의 기능 등을 밝히는 것이 통사론의 주요 과제이다.
통사 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접근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생성 문법(Generative Grammar)은 인간의 언어 능력을 설명하기 위해 보편적인 문법 규칙을 탐구하며, 의존 문법(Dependency Grammar)은 단어 간의 의존 관계를 중심으로 문장 구조를 분석한다. 또한, 범주 문법(Categorical Grammar)은 단어의 문법적 범주를 이용하여 문장 구조를 설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통사론은 언어 교육, 자연어 처리, 전산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외국어 학습에서 올바른 문장 구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며,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데 필요한 문법 규칙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