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염
복막염은 복강 내 장기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인 복막에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감염, 화학적 자극, 또는 외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원인:
- 감염: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장 천공(예: 충수돌기염, 게실염, 위궤양 천공), 수술 후 감염, 골반염, 패혈증 등이 있습니다.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이 복막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 화학적 자극: 위산, 담즙, 췌장액, 소변, 혈액 등이 복강 내로 누출될 경우 복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외상: 복부 외상으로 인해 장기가 손상되고 복막이 직접적으로 손상될 수 있습니다.
- 기타: 드물게는 자가면역 질환, 악성 종양, 투석액 누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복막염의 증상은 원인과 심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 심한 복통: 지속적이고 심한 복통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움직이거나 기침할 때 악화될 수 있습니다.
- 복부 압통: 복부를 누르면 심한 통증을 느끼는 증상입니다.
- 복부 경직: 복벽 근육이 굳어지는 현상으로, 복부를 만졌을 때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발열: 감염으로 인한 염증 반응으로 발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오심 및 구토: 복강 내 염증으로 인해 소화 기능이 저하되어 오심과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빈맥: 심박수가 빨라지는 현상입니다.
- 호흡 곤란: 심한 경우 복부 팽만으로 인해 횡격막이 압박되어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복막염은 임상 증상과 함께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신체 검진: 복부 압통, 경직 등 복막 자극 증상을 확인합니다.
- 혈액 검사: 백혈구 수치 증가, 염증 수치 상승 등을 확인합니다.
- 복부 X선 및 CT 촬영: 장 천공, 복강 내 액체 저류, 장 폐색 등을 확인합니다.
- 복강 천자: 복강 내 액체를 채취하여 분석함으로써 원인을 파악합니다.
치료:
복막염은 심각한 질환이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 항생제 투여: 감염이 원인인 경우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염을 치료합니다.
- 수액 및 전해질 보충: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합니다.
- 외과적 수술: 장 천공, 농양, 괴사 조직 제거 등 원인 제거를 위한 수술을 시행합니다.
- 지지적 치료: 통증 완화, 영양 공급 등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예후:
복막염의 예후는 원인, 진단 시기, 치료의 적절성,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예후가 좋지만, 치료가 지연되거나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