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반
태반 (胎盤, Placenta)은 임신 기간 동안 포유류의 자궁 내벽에 형성되는 일시적인 기관으로, 모체와 태아 사이의 물질 교환을 담당합니다. 태반은 모체의 혈액으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태아에게 공급하고, 태아의 혈액으로부터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모체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태반은 임신 유지에 필요한 호르몬을 생성하고, 태아를 외부의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면역 기능도 담당합니다.
구조와 형성
태반은 수정란이 자궁 내벽에 착상한 후부터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수정란의 바깥층 세포인 영양막 세포가 자궁 내벽에 침투하여 융모를 형성하고, 이 융모가 점차적으로 발달하여 태반의 주요 구조를 이루게 됩니다. 태반은 크게 모체 부분과 태아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모체 부분은 자궁 내벽의 탈락막으로 구성되며, 태아 부분은 융모막으로 구성됩니다. 융모막 안에는 태아의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모체의 혈액과 물질 교환을 할 수 있습니다.
기능
- 영양 공급 및 노폐물 배출: 태반은 모체의 혈액으로부터 산소,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등 태아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태아의 혈액으로부터 이산화탄소, 요소, 크레아티닌 등 노폐물을 모체로 배출합니다.
- 호르몬 생성: 태반은 임신 유지에 필요한 다양한 호르몬을 생성합니다. 대표적인 호르몬으로는 인간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hCG),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등이 있습니다. hCG는 임신 초기 황체를 유지하여 프로게스테론 분비를 촉진하고,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은 자궁 내막을 유지하고 자궁 수축을 억제하여 임신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면역 기능: 태반은 모체의 면역 세포가 태아에게 전달되는 것을 막고, 태아의 면역 체계가 발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일부 항체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이는 태아의 면역력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임상적 의의
태반의 기능 이상은 임신 중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태반 조기 박리, 전치 태반, 태반 기능 부전 등이 있습니다. 태반 조기 박리는 태반이 분만 전에 자궁벽에서 떨어져 나가는 상태로, 태아에게 산소 공급이 중단되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치 태반은 태반이 자궁 경부를 막고 있는 상태로, 분만 시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태반 기능 부전은 태반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태아의 성장 부전, 조산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기타
태반은 분만 후 자궁 밖으로 배출되며, 이를 후산이라고 합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태반을 약재로 사용하거나, 출산 후 특별한 의식을 치르기도 합니다.